Total 50건

  • 학술행사 GLAMPING Seminar: Strongly Correlated Electronic Systems and Dynamical Mean Field Theory

    일시: 2025-07-24 장소: 129동 102호 발표자: 고범준 LAMP포닥 발표제목: Strongly Correlated Electronic Systems and Dynamical Mean Field Theory          

    2025-07-25

    Read More
  • 학술행사 서울대학교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 덴마크 기상청·극지연구소와 “제1회 서울대학교 극지 해빙 국제워크숍(1st SNU Workshop on Polar Sea Ice)” 성료

    □ 서울대학교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IDIS)는 서울대학교 G-램프(LAMP) 사업의 지원을 받아 2025년 7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덴마크 기상청(DMI) 및 극지연구소(KOPRI)와 공동으로 “제 1회 서울대학교 극지 해빙 국제워크숍(1st SNU Workshop on Polar Sea Ice)”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서울대학교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와 덴마크 기상청 및 극지연구소 간의 연구협력 양해각서(MOU)에 기반한 첫 번째 국제 공동 행사로, 인공위성 원격탐사, 현장 관측, 수치/기후 모델링, 날씨/기후 예측 등 극지 해빙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총 3일간 21건의 구두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국내에서 극지 해빙의 다양한 주제로 열린 첫 번째 다분야 국제 공동워크숍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이번 워크숍에서는 세계적인 극지 해빙 분야 전문가인 미국 국립눈얼음데이터센터(NSIDC)의 Walt Meier 박사와 영국 노스엄브리아대학교(Northumbria University)의 Melody Sandells 교수가 초청강연자로 참여하였다. Walt Meier 박사는 인공위성 자료 기반의 극지 해빙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AI 및 통계 기법을 활용한 미래의 원격탐사 연구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Melody Sandells 교수는 극한 환경에서 수집된 극지 현장 관측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물리 모델링을 통한 데이터 해석의 중요성을 다뤘고, 관련분야의 국제공동연구의 중요성에 대해서 발표하였다.   □ 극지연구소의 최용한 박사는 서울대학교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 환경대학원과의 공동연구의 결과물로 해빙 및 해양 자료동화를 활용한 기후모델의 예측성능 개선 사례를 소개하였고, 이에 대해 덴마크 기상청 연구진들은 삼자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북극 해빙의 확장과 쇠퇴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는 연구 비전을 공유하였다.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참석자 간의 활발한 토론이 오가며, 위성 및 현장관측과 데이터사이언스 융합 연구의 가능성에 대한 높은 관심이 확인되었다.   □ 국내 극지 해빙 연구자 간 네트워킹의 출발점  이번 워크숍에는 서울대학교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 외에도 서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지구환경과학부, 환경대학원 및 극지연구소, 차세대수치예보사업단, 울산과학기술원, 부경대학교 등 다양한 기관의 연구진이 참석하였다. 국내 연구자들은 현장 관측, 위성 관측, 날씨예보, 기후예측 등 다양한 분야의 성과를 공유하며, 연구주제 교류 및 국내 공동연구 기획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관측 기반 자료와 수치/기후 모델링 자료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진 점은 워크숍의 주요 성과로 평가된다   □ 국제공동연구의 시동 이번 워크숍은 극지 해빙 연구가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으며, 국제 공동연구가 필수불가결하다는 점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덴마크 기상청의 Hoyeon Shi 박사는 “지금까지 해빙 연구는 극지 인접 국가들이 주도해왔지만, 북극항로 개척시대에는 다양한 국가들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서울대학교의 이상무 교수는 “국가 차원에서 북극항로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이번 워크숍을 시작으로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국제공동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향후 계획 및 비전 서울대학교 이상무 교수와 덴마크 기상청 Suman Singha 박사는 워크숍 폐회 인사를 통해 한-덴 국제공동연구 추진 의지를 공식적으로 표명하였다. 서울대학교의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술과 덴마크 기상청의 해빙 현장 관측 및 예측 역량이 결합될 경우 높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며, 양 기관은 이번 워크숍을 격년제로 한국과 덴마크에서 번갈아 정례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Walt Meier 박사는 미국 국립눈얼음데이터센터와 서울대학교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 간의 연구협력 양해각서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향후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국제 연구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하였다.   □ 기대 효과 및 비전 이번 행사를 기획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이상무 교수는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국내 극지 해빙 연구자들 간의 연구협력이 더욱 촘촘하게 연결되고,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극지과학 연구 수준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E동아  서울대, 덴마크 기상청·극지연구소와 “제1회 서울대학교 극지 해빙 국제워크숍(1st SNU Workshop on Polar Sea Ice)” 성료 < 대학교육 < 대학소식 < 기사본문 - E동아 대학저널  서울대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 ‘제1회 서울대 극지 해빙 국제워크숍’ 베리타스알파  서울대 과학데이터혁신연구소, 덴마크 기상청·극지연구소와 “제1회 서울대학교 극지 해빙 국제워크숍(1st SNU Workshop on Polar Sea Ice)” 성료 < 대학뉴스 < 대학 < 기사본문 - 베리타스알파  

    2025-07-24

    Read More
  • 학술행사 GLAMPING Seminar: Structural dynamics of SMc proteins for genome organization

    일시: 2025-07-09 장소: 129동 102호 발표자: 류제경 교수 (램프전임교원) 발표제목: Structural dynamics of SMc proteins for genome organization    

    2025-07-09

    Read More
  • 학술행사 GLAMPING Seminar: Causal Inference with Modern Datasets: A Selective Overview

    일시: 2025-06-18 장소: 129동 102호 발표자: Prof. Hyunseung Kang, University of Winconsin-Madison 발표제목: Causal Inference with Modern Datasets: A Selective Overview            

    2025-06-18

    Read More
  • 학술행사 GLAMPING Seminar: Matching Methods for Causal Inference: From Basics to High-Dimensional Data

    일시: 2025-06-05 장소: 129동 102호 발표자: 이하정 LAMP포닥 발표제목: Matching Methods for Causal Inference: From Basics to High-Dimensional Data            

    2025-06-05

    Read More
  • 학술행사 GLAMPING Seminar: A global database of modern rivers to better understand fluvial systems in Mars

    일시: 2025-05-21 장소: 129동 102호 발표자: Cristiano Galeazzi LAMP포닥 발표제목: A global database of modern rivers to better understand fluvial systems in Mars            

    2025-05-21

    Read More